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줄거리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마지막 청부살인을 끝으로 은퇴를 준비하던 킬러 김인남
이, 자신의 과거가 불러온 복수와 함께 딸의 존재를 마주하면서 펼쳐지는 액션 누아르입
니다. 일본에서 마지막 타깃을 제거한 인남은 한국으로 돌아와 조용한 삶을 꿈꾸지만, 옛
연인 서영주가 살해당하고 그 딸 유민이 태국에서 납치됐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과거 자신의 살인으로 형을 잃은 또 다른 킬러 레이는 형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인
남을 추격하며, 두 사람은 태국의 지하 범죄 세계 한복판에서 엇갈린 목적을 안고 충돌
합니다.
한편, 인남은 유이라는 트랜스젠더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유민을 찾고, 인생 마지막 임무
처럼 목숨을 걸고 아이를 구하려 합니다. 영화는 복수와 구원, 폭력과 부성애라는 상반된
감정을 태국이라는 이국적 배경과 강렬한 액션으로 엮어냅니다.
등장인물 분석
김인남 (황정민)
조용히 사라지려 했던 전직 킬러로, 평생을 폭력으로 살아왔지만 딸의 존재를 알게 된
순간부터 자신의 인생을 걸고 책임지려는 인물입니다. 황정민은 말보다 눈빛과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하며 절박한 아버지의 모습을 강렬하게 보여줍니다.
레이 (이정재)
냉혹한 성격의 킬러로, 형을 죽인 인남을 끝까지 쫓는 복수자입니다. 그는 잔인하고 집요
하지만,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순수한 복수자이기도 합니다. 이정재는 기존 이미지와는
다른 스타일의 캐릭터를 통해 차가운 분노를 화면에 각인시킵니다.
유이 (박정민)
태국에서 살아가는 트랜스젠더 여성으로, 인남의 임무에 우연히 휘말려 조력자가 됩니다.
처음에는 돈을 위해 협력하지만, 점차 인남의 진심과 상황을 이해하면서 인간적으로 연
결됩니다. 박정민은 유이 캐릭터에 유머와 따뜻함을 동시에 부여하며 영화에 숨 쉴 틈을
만들어 줍니다.
서영주 (최희서)
인남의 과거 연인이자 유민의 엄마로, 영화 초반 사망하지만 그 존재감은 이야기 내내
강하게 남아 있습니다. 그녀의 죽음은 인남이 무관심했던 과거와 마주하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유민 (박소이)
인남의 딸로, 납치당한 채 영화의 전개를 이끄는 핵심 인물입니다. 직접적인 대사나 장면
은 많지 않지만, 모든 사건의 정서적 중심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관객 반응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2020년 여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4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장르 영화로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뒀습니다.
특히 “황정민과 이정재의 재회”, “말보다 액션으로 감정을 전달한 영화”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고, “태국 로케이션과 음악이 서사에 깊이를 더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습니
다.
유이 캐릭터에 대한 반응 역시 뜨거웠습니다. 많은 관객들이 “박정민의 변신이 놀라웠
다”, “서사 속 진정성 있는 조연”이라며 주연 못지않은 존재감을 언급했습니다.
다만 일부 관람객은 “잔인한 장면이 과하다는 느낌”, “스토리 전개가 단순하다”는 아쉬움
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평론가 평가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두 배우의 열연과 감각적인 스타일이 돋보이는 액션 누아르로
평가했습니다. 특히 인물 간 감정의 흐름을 대사보다 이미지와 행동으로 표현하려는 연
출이 고전 누아르의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황정민은 극도로 절제된 감정을 표현했고, 이정재는 날카롭고 에너지 넘치는 연기를 통
해 영화의 리듬을 주도했으며, 박정민은 그 중간에서 작품의 균형을 잡아주는 중심축 역
할을 했다는 평이 주를 이뤘습니다.
다만 몇몇 평론가는 이야기 구조가 단순하다는 점과 후반 감정선의 마무리가 지나치게
무겁다는 점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총평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액션 장르에 복수극의 전형을 입혔지만, 그 속에 부성애와
인간적 구원의 감정을 깊이 있게 녹여낸 작품입니다. 태국이라는 이국적인 공간, 음악과
색감이 강조된 스타일리시한 연출, 그리고 황정민·이정재의 팽팽한 연기 대결은 이 영화
를 단순한 장르 영화로 보기 어렵게 만듭니다.
폭력적인 세계 속에서도 아이를 지키고자 하는 한 남자의 사투는 관객에게 묵직한 질문
을 던집니다. “당신은 무엇을 위해 마지막 총을 쏘겠는가?”
이 작품은 감정과 액션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인간이라는 존재의 본질을 다시 묻는 영화
입니다. 냉정하지만 뜨겁고, 잔혹하지만 끝내 따뜻한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지금까지
의 한국 액션 영화에 또 하나의 기준점을 새긴 작품입니다.